경고등 및 표시등
* 경고등이 꺼지지 않고 계속 켜져 있거나 주행 중 경고등이 켜지면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심벌 |
점등 시간 |
항목 |
---|---|---|
READY |
상시 |
주행 가능 표시등 차량 시동 후 주행 준비가 완료되면 표시등이 켜짐 |
|
3초 |
서비스 경고등 전기차 제어 시스템과 관련된 센서의 고장이나 액츄에이터, 에어컨용 전동 압축기 등에 이상이 있을 경우 경고등이 켜짐 |
|
상시 |
파워다운 표시등 전기차 고전력 부품의 보호를 위해 차량 출력이 제한되는 경우 표시등이 켜짐 (파워다운 표시등만 단독으로 켜지는 경우 고장이 아닙니다. 파워다운 표시등과 서비스 경고등이 동시에 켜지는 경우,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서비스협력사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
상시 |
충전 표시등 구동용(고전압) 배터리 충전을 위해 충전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표시등이 켜짐 |
|
6초 |
에어백 경고등 에어백 장치에 이상이 없으면 경고등이 꺼짐 * 자세한 사항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6초 |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 안전벨트가 체결될 때까지 경고등이 켜짐 * 자세한 사항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3초 |
브레이크 경고등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을 약 10 km/h 이상으로 주행하거나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있을 경우,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경우 경고등이 켜짐 |
|
3초 |
회생 제동 경고등 브레이크 계통에 이상이 생겨 회생 제동이 작동하지 않고 브레이크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경우 노란색 경고등이 켜짐 |
|
3초 |
ABS 경고등 ABS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경고등이 켜짐 |
|
3초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경고등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경고등이 켜짐 |
|
3초 |
구동용(고전압) 배터리 잔량 경고등 구동용(고전압) 배터리의 잔량이 적을 경우 경고등이 켜짐 |
|
상시 |
충전 경고등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충전 장치가 고장났을 때 경고등이 켜짐 |
|
3초 |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타이어 공기압이 현저하게 낮아진 경우 경고등이 켜짐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경고등이 켜지지 않거나 일정 시간(약1분) 깜빡인 후 켜짐 * 자세한 사항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EPB |
3초 |
전자식 파킹브레이크 경고등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경고등이 켜짐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3초 |
전방 안전 경고등 전방 충돌방지 보조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경고등이 켜짐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AUTO HOLD |
상시 |
자동 정차 기능 표시등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상시 |
4륜 구동 경고등 4륜 구동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경고등이 켜짐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상시 |
통합 경고등 차량 관련 경고가 필요한 상황이 1가지 이상 발생한 경우 경고등이 켜짐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3초 |
차체자세 제어 장치(ESC) 작동 표시등 운행 중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가 작동할 경우 작동하는 동안 표시등이 깜빡임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 하십시오. |
|
3초 |
차체자세 제어 장치(ESC) 작동 정지 표시등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OFF 버튼을 눌러 ESC 장치를 끌 경우 표시등이 켜짐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 하십시오. |
|
30초 |
이모빌라이저 경고등/키 확인 표시등
|
|
상시 |
비상경고등/방향지시등 전구 및 배선 불량인 경우 작동 주기가 정상보다 빨라지거나 느려짐 |
|
상시 |
전조등 상향 표시등 조명 스위치를 상향 위치에 놓거나 운전자 방향으로 당길 경우 표시등이 켜짐 |
|
상시 |
하이빔 보조표시등 조명 스위치를 「AUTO」 모드에서 상향 위치에 놓을 경우 표시등이 켜짐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상시 |
전조등 하향 표시등 전조등이 켜진 경우 표시등이 켜짐 |
|
상시 |
조명 켜짐 표시등 미등 또는 전조등이 켜진 경우 표시등이 켜짐 |
|
3초 |
LED 전조등 고장 표시등 LED 램프 및 관련 부품에 이상이 있는 경우 표시등이 켜짐 |
|
상시 |
도로 결빙 경고등 외기 온도가 약 4℃ 미만일 경우 깜빡인 후 경고등이 켜짐 |
|
상시 |
차로 유지 보조 표시등 차로 유지 보조 기능을 사용할 경우 표시등이 켜짐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 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상시 |
고속도로 차로변경 보조 표시등 고속도로 차로변경 보조 기능을 사용할 경우 표시등이 켜짐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 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상시 |
차로 안전 표시등
*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는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그대로 주행해서는 안 됩니다.
-
주차 브레이크를 급하게 조작하면 뒷바퀴만 제동이 되어 차가 옆으로 돌아갈 우려가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 조작은 천천히 하십시오.
-
타이어의 공기압이 현저하게 낮으면 차량의 주행이 불안정해지며 제동거리가 길어져 매우 위험합니다. 항상 적절한 공기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점검하십시오.
-
낮은 공기압은 타이어 과열의 원인이 됩니다. 타이어가 과열될 경우 타이어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항상 적절한 공기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점검하십시오.

-
주행 전에 반드시 경고등이 꺼졌는지 확인하십시오.
-
브레이크 경고등「
」이 켜지면 페달이 딱딱해져 제동이 힘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평상시보다 강하게 밟아 정지해야 합니다.
-
주행 중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진 상태에서 정지할 경우 급제동을 하지 말고 서서히 정지하십시오.
-
파워다운 표시등「
」이 켜져 있을때는 급가속이나 급출발을 하지 마십시오.
-
전기차 고전력 부품의 보호를 위해 출력이 제한될 경우 파워다운 표시등「
」이 켜집니다. 표시등이 켜진 상태에서는 언덕길을 올라가기 어렵거나, 언덕길에서 차가 밀릴 수 있습니다.
-
EBD 경고등
브레이크 경고등「
」과 ABS 경고등「
」이 동시에 켜진 경우 제동력의 전·후륜 배분기능(EBD)도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급제동 시 차량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습니다. 경고등이 켜지면 고속주행이나 급제동을 피하고 곧바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ABS 또는 EBD 경고등이 켜지면 속도계 또는 적산거리계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주행 중에 4륜 구동 경고등「
」이 켜지면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차량의 시동을 켰을 때 이모빌라이저 경고등 「
」이 약 5초 동안 깜빡이면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이 예상되므로 즉시 자사 서비스센터에 문의하신 후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충전 경고등「
」이 켜지지 않더라도 팬 벨트의 장력이 부족할 때는 충전량이 부족하여 배터리의 전력 소모 증대로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
주행 중 브레이크 경고등「
」이 켜지는 경우 브레이크 계통이 이상이 있다는 신호이므로 안전한 장소에 차를 멈추십시오.
-
만일 브레이크 제동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평상시보다 강하게 밟아 안전한 장소에 차를 멈추십시오.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의 긴급 작동 기능을 사용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
주행 중 ABS 경고등「
」이 켜졌을 경우 안전한 장소에 차를 세우고 시동을 끄십시오. 다시 차량의 시동을 걸어 경고등을 확인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