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으로만 검색
> 사용 설명서(요약본 ) > 시동 및 주행 > 패들 시프트

패들 시프트

수동 변속 모드

패들 시프트는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지 않고 변속할 수 있는 변속 장치입니다.

작동 방법

  • 오른쪽 패들 시프트 레버(+) 또는 왼쪽 패들 시프트 레버(-)를 한 번 당길 때마다 1단씩 상승하거나 내려가면서 수동 변속 모드로 진입합니다.

회생 제동 모드

계기판을 통해 회생 제동 설정 단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패들 시프트 레버로 회생 제동량(0~3단계, MAX 단계)을 변경하여 주행의 재미와 에너지 효율 개선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 왼쪽 패들 시프트 레버(-)를 한 번 당길 때마다 회생 제동량이 1단계씩 상승하면서 차량 감속도가 커지고, 오른쪽 패들 시프트 레버(+)를 한 번 당길 때마다 회생 제동량이 1단계씩 내려가면서 차량 감속도가 작아집니다.

  • 왼쪽 패들 시프트 레버(-)를 약 0.4초 이상 당기고 있으면 MAX단계로 진입하며, 차량 정차도 가능합니다.

  • 오른쪽 패들 시프트 레버(+)를 약 1초 이상 당기고 있으면 스마트 회생 시스템(회생 제동량 자동변경 기능)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패들 회생 제동 완전정차 기능(MAX 단계)

  • 왼쪽 패들 시프트 레버(-)를 약 0.4초 이상 당기고 있으면 차량이 정차하는 기능입니다.

  • 감속 중에는 계기판의 회생 제동 설정 단계가 MAX로 표시되며, 완전 정차 시 회생 제동 설정 단계가 STOP으로 표시됩니다.

작동 방법

  1. 타력 주행 중에 왼쪽 패들 시프트 레버(-)를 당기고 있어야 합니다.

  2. 계기판의 회생제동 설정 단계가 STOP으로 변경되면 왼쪽 패들 시프트 레버(-)를 놓아도 정차 제어를 유지합니다.

  3. 회생 제동 설정 단계가 STOP에서는 가속 페달을 밟아야 재출발이 가능합니다.

  4. 패들 회생제동 MAX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패들 시프트 레버 작동과 관계 없이 MAX 제어를 유지합니다. (차량이 멈추면 회생제동 설정 단계는 STOP으로 전환됩니다.)

스마트 회생 시스템 (사양 적용 시)

타력 주행 시, 도로 경사 및 전방 차량 주행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회생 제동 단계를 제어해주는 기능입니다. 불필요한 브레이크 및 가속 페달 작동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운전자의 피로를 줄여주는 편의 기능입니다.

스마트 회생 시스템 설정

작동 방법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설정 → 차량 → 환경차 → 스마트 회생 제동'을 선택하거나 오른쪽 패들 시프트 레버(+)를 약 1초 이상 당기면 스마트 회생 시스템(회생 제동량 자동변경 기능)이 작동되며 계기판에 단계별로 표시되던 회생 제동량이 'AUTO' 표시등으로 전환됩니다.

  • 시동을 끄고 다시 걸면 회생제동 모드 0단계로 복귀합니다.

작동 준비 상태

  • 계기판에 회생 제동 단계 'AUTO' 문구가 흰색으로 표시됩니다.

작동 중

  • 전방 레이더가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상황에서는 'AUTO' 문구가 초록색으로 표시됩니다. 전방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회생 제동 단계를 제어하며, 자동으로 변경된 회생 제동 단계가 화살표로 표시됩니다.

    단, 시스템 작동 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현재 회생 제동 단계가 증가되지 않으며 가속 페달을 밟을 때, 기능이 일시적으로 해제됩니다.

스마트 회생 시스템 해제

수동으로 해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설정 → 차량 → 환경차 → 스마트 회생 제동'을 선택하거나 우측 패들 시프트 레버를 약 1초 이상 당기십시오.

계기판의 'AUTO' 문구 대신 단계별 표시등으로 전환되고, 스마트 회생 시스템 기능이 해제됩니다.

자동으로 일시 해제

  • 시동 「OFF」 후 다시 시동을 걸었을 경우

  • 「N」(중립), 「R」(후진), 「P」(주차), 「수동 모드(변속 레버 타입)」단으로 변속할 경우

  • 드라이브 모드를 SPORT(스포츠) 모드로 변경할 경우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이 작동할 경우

  • 차체자세 제어 장치(ESC)/ABS가 작동할 경우

  • 모터 및 배터리가 고온/저온 상태이거나 배터리, 변속기에 문제가 있을 경우

  • SOC(고전압 배터리 충전량)가 높을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