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운전 요령
-
엔진 시동은 반드시 변속 레버를 「P」(주차)에 위치 놓은 후 주차 브레이크를 걸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시동을 거십시오.
-
변속 레버를 움직일 때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계기판에 나타나는 변속 위치 표시등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조작한 다음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서서히 떼십시오.
-
언덕길에서 정차할 때는 가속 페달을 이용하여 차를 멈추려 하지 말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십시오.
-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R」(후진) 위치 또는 어떠한 전진 변속 위치에서도 가속 페달을 밟지 마십시오.
-
주·정차 중에 엔진을 지나치게 고속으로 회전하지 마십시오.
-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에서 반드시 전진할 때는 「D」(주행), 후진할 때는 「R」(후진) 위치로 변속한 후 계기판에 표시된 변속 위치를 확인하고 주행하십시오. 주행 방향과 반대로 변속한 상태에서 차량이 움직일 경우 시동이 꺼지고 브레이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어 위험합니다.
-
주행 중에는 변속 레버를 「N」(중립) 위치로 변속하지 마십시오.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아 위험하게 됩니다.
-
정차 시 변속 레버가 「P」(주차) 위치에 확실하게 변속되어 있지 않으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차량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잠시라도 차에서 떠나 있을 때는 안전을 위해서 항상 변속 레버를 「P」(주차) 위치에 두고 주차 브레이크를 건 다음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시오.
출발하는 경우
변속 레버를 「D」(주행),「R」(후진) 위치로 조작하거나 수동 모드(+, -)로 변속할 경우 가속 페달을 밟지 않아도 차가 움직여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엔진 회전 수가 높은 경우(외부온도에 따라 약 1,500~2,000 rpm 이상)는 차량이 갑자기 움직일 수 있습니다.
「N」(중립) 또는 「P」(주차)에서 다른 위치로 변속할 때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하십시오.
가속 페달을 밟은 채로 변속하면 차량이 갑자기 움직여 예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통상 주행 시 급가속하는 경우
-
「D」(주행) 위치에서는 다른 차량을 추월할 수 있습니다. 가속 페달을 끝까지 밟으면 변속기는 저단 변속하여 급가속하게 됩니다. 다른 차량을 추월할 때는 추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차와의 차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십시오.
정지 후 언덕길로 주행하는 경우
-
정지했다가 언덕길로 올라가려고 할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적재량과 언덕길의 경사도에 따라 변속 레버를 「D」(주행) 위치 또는 수동 모드의 「1단」 위치에 놓으시고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십시오.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뗀 후 가속 페달을 서서히 밟으십시오.
-
급한 오르막 길에서 정차 후 출발 시 차량이 뒤로 밀릴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