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으로만 검색
> 사용 설명서 ( 요약본 ) > 전기자동차 안전 주의사항

전기자동차 안전 주의사항

차량 사고 및 화재 발생 시 응급조치

경고
  •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킨 후, 고전압의 전기 누출을 방지하지 위해 차량 시동을 끄고 보조 배터리(12 V)의 단자를 분리하여 전원을 차단하십시오.

  • 차량 내부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노출된 전선이 있을 경우 전선을 만지지 마십시오. 또한, 고전압의 전선(주황색)과 커넥터 그리고 모든 전기 부품 및 장치를 만지지 마십시오. 전기 충격이 발생하여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구동용(고전압) 배터리가 파손되어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전해액이 누출될 수 있습니다. 누출된 액체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가연성 가스 및 유독 가스 누출이 의심이 되면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십시오. 만일 누출된 액체가 눈에 들어가거나 피부에 접촉되면 즉시 흐르는 물 또는 소금물로 신체 접촉 부위를 씻은 후 의사의 진료를 받으십시오.

  • 소규모 화재일 경우에는 전기화재용 소화기(ABC, BC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화하십시오. 초기에 신속한 화재 진압이 불가능할 경우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사람들이 접근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119번 등 긴급전화를 통하여 전기차량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화재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안내받으십시오.

    화재가 차량 하부의 고전압 배터리에 전이된 경우, 화재를 완전히 진압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동안 대량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합니다 . 만약 소량의 물 또는 부적절한 소화기를 사용할 경우 화재 진화가 어렵고 감전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여 다칠 수 있습니다.

  • 차량이 침수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시동을 끄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소방서 등 응급기관 및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서비스협력사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으십시오.

경고

견인이 필요하다면, 네 바퀴를 모두 들어올려 견인하십시오.

경고
  • 바퀴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견인할 경우 차량 구동계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화재가 발생한 차량의 경우 2차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차량 이동 및 견인 시 반드시 소방차와 함께 이동 조치하십시오.

전기자동차 기타 주의 사항

  • 차량 사고 등으로 도장을 하고 고온 열처리를 할 경우 구동용(고전압)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고온 열처리가 필요할 경우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서비스협력사에 문의 바랍니다.

  • 모터룸 내부 청소 시 고압 세차나 물 세척을 하지 마십시오. 고전압 누전에 의한 감전을 일으킬 수 있고, 부품손상 등 차량의 전기 계통에 이상이 생겨 차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비 순정부품을 사용하거나 임의 개조 장착을 하지 마십시오. 전기 동력 시스템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인터락 커넥터

응급상황에서 배터리의 고전압을 차단하기 위해서 서비스 인터락 커넥터 선을 절단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