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시 인명 안전을 고려해 다음 조치를 취하십시오.

-
차량 화재가 발생하면, 전기 화재 전용 분말 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화하십시오. 전기 화재 전용 분말 소화기가 없을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물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십시오. 소량의 물 또는 부적절한 소화기를 사용하면 전기 충격으로 인해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신속한 화재 진압이 불가능할 경우 구동용(고전압) 배터리가 가열되어 폭발할 수 있으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사람들이 접근하지 않도록 하여 주십시오. 소방서 등 응급기관에 연락하여 전기차량 화재임을 알리고 조치를 받으십시오.
-
차량이 침수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시동을 끄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소방서 등 응급기관 및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전기차 지정 서비스협력사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으십시오.
-
배터리 화재가 발생한 차량의 경우 2차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차량 이동 및 견인 시 반드시 소방차와 함께 이동 조치하십시오.
-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차량을 안전한 장소에 이동시킨 후, 고전압의 전기 누출을 방지하지 위해 차량 시동을 끄고 보조 배터리(12 V)의 단자를 분리하여 전원을 차단하십시오.
-
차량 내부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노출된 전선이 있을 경우 전선을 만지지 마십시오.
또한, 고전압의 전선(주황색)과 커넥터 그리고 모든 전기 부품 및 장치를 만지지 마십시오. 전기 충격이 발생하여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구동용(고전압) 배터리가 파손되어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전해액이 누출될 수 있습니다. 누출된 액체가 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가연성 가스 및 유독 가스 누출이 의심이 되면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십시오. 만일 누출된 액체가 눈에 들어가거나 피부에 접촉되면 즉시 흐르는 물 또는 소금물로 접촉 부위를 세척한 후 의사의 진료를 받으십시오.
-
견인이 필요하다면, 네 바퀴를 모두 들어올려 견인하십시오. 만약 두 바퀴를 이용하여 견인 시에는 구동되는 바퀴인 뒷바퀴를 들어올려 견인 하십시오. 구동되는 뒷바퀴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견인을 할 경우 차량 모터에서 전기가 발생하여 모터 부품이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