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으로만 검색
> 사용 설명서 ( 요약본 ) > 시동 및 주행 > 감속기

감속기

시동 「ON」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변속 레버 버튼을 눌러야 작동 가능(변속 레버 잠금장치 장착)

변속 레버 버튼을 눌러야 작동 가능

변속 레버를 그대로 작동시킴

* 변속 레버를 +움직일 때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하십시오.

변속레버

P(Park) : 주차

주차 및 시동을 걸 때 사용합니다.

차 바퀴가 고정됩니다. 주차할 때는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걸고 「P」(주차)로 해주십시오.

주의
  • 「P」(주차) 위치로 변속할 때는 반드시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변속해 주십시오. 차량이 움직이는 상태에서 변속하면 감속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P」(주차) 위치에서 장시간 시동을 걸어 놓으면 감속기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장시간 정차시에는 시동을 끄십시오.

R(Reverse) : 후진

차량을 후진시킬 때 사용합니다.

주의

「R」(후진)의 위치로 변속할 때나 「R」(후진)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변속하고자 할 때는 차량을 완전히 정차시킨 후 변속하십시오.

알아두기

후진 시에는 후방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부저음이 울립니다.

N(Neutral) : 중립

동력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N」(중립)단에서 시동을 「OFF」 하면 「N」(중립)단이 유지되며 시동 「ACC」 상태가 됩니다. 시동을 완전히 끄려면 「P」(주차)단에서 시동을 끄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4장의 "시동 버튼"을 참고하십시오.)

D(Drive) : 주행

차량을 전진시킬 때 사용합니다.

주의

언덕길에서 멈춘 후 출발할 경우에는 변속 레버가 「D」(주행)에 있어도 가속 페달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으면 상황(등판각)에 따라 차량이 뒤로 밀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중대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N(중립)단 주차

다른 사람이 차량을 움직일 수 있도록 주차시켜 놓을 때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1
시동 「ON」 또는 시동을 건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푸십시오.

또한, AUTO HOLD 기능이 작동되어 있으면, 「AUTO HOLD」 버튼을 눌러 기능을 해제하십시오.

2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레버를 「P」(주차) 주차 위치로 이동시킨 후 시동을 끄십시오.
3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레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N」(중립)단 위치로 이동 가능합니다.

시동 「OFF」 후 3분동안만 「N」(중립) ↔「P」(주차)단 변속이 가능합니다.

만약 3분 경과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레버 앞쪽에 위치한 「SHIFT LOCK RELEASE」버튼과 「변속레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N」(중립) 위치로 이동하십시오.

주의

「N」(중립)단 주차 후, 「P」 (주차)단으로 이동은 「SHIFT LOCK RELEASE」 버튼과 변속레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가능합니다.

주의

「N」(중립)단 주차를 제외하고 항상 안전을 위해 「P」 (주차)단 위치에 두고 주차 브레이크를 체결 하십시오.

변속 잠금 장치(Shift Lock)

「P」(주차) 또는 「N」(중립) 위치에서 「R」(후진) 단으로 변속하고자 할 때,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만 변속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장치입니다.

「P」(주차) 또는 「N」(중립) 위치에서 「R」(후진) 단으로 변속하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1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계십시오.
2
시동 버튼을 「ON」 위치에 두십시오.
3
브레이크 페달을 밞은 상태에서 변속하십시오.
  • 「P」(주차) 위치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반복적으로 밟고 해제하면 감속기 부근에서 잡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 「N」(중립) →「R」(후진) 단 변속 레버 잠금장치 (Shift Lock) 기능

    「N」(중립) 단에서 「R」(후진) 단 변속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레버 버튼을 누르며 조작해야합니다.

    (「D」(주행) 또는 「N」(중립)단에서 차량이 움직이는 도중에 운전자 오조작에 의한 「P」(주차),「R」(후진) 단 체결을 방지합니다.)

  • 변속 잠금 장치(Shift Lock)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레버를 움직여야 잠금 장치가 해제되므로 해제 순서를 반드시 준수하십시오.

변속 레버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또는 시동 「ON」 상태가 아니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변속 레버가 「P」(주차)위치에서 「R」(후진) 위치로 조작되지 않습니다. 이 때는 변속 레버 앞쪽에 위치한 「Shift Lock RELEASE」버튼을 누르면서 변속 레버 버튼을 눌러 변속 레버를 움직이면 다른 위치로 조작이 가능합니다.

수동해제를 사용한 경우, 재시동 후에는 변속 레버 잠금 장치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단,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변속 레버 잠금장치 (Shift Lock)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

  • 시동이 「ON」 인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는데도 변속 레버가 「P」(주차) 위치에서 「R」(후진) 위치로 움직이지 않을 때

회생 제동 시스템

회생제동 (패들 쉬프트)

패들 쉬프트 레버로 회생제동량(0~3 단계)을 변경하여 주행의 재미와 실도로 연비 개선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

  • 패들 쉬프트 측을 0.5초 이상 당기고 있으면 3단계, 측을 0.5초 이상 당기고 있으면 0단계로 변경 됩니다.

주의

아래와 같은 경우, 패들 쉬프트로 회생제동량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 레버의 (좌) / (우)을 동시에 당기거나 (좌)을 당긴 상태에서 (우)을 당길 경우

  •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여 차량이 감속하는 경우

  • 크루즈 컨트롤이 작동하는 경우

주의
  • 패들 쉬프트 레버 조작으로 차량이 완전히 정차하지 않으며, 10 km/h쯤에서 회생제동량이 줄어 들어 차가 서서히 움직입니다. 차량을 정차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패달을 밟아서 멈춰야 합니다.

  • 회생 제동시 고주파 작동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의

일반적으로 내리막길에서 회생제동(패들 쉬프트 왼쪽 레버로 회생제동량 증대)을 사용하면 방향조작에 도움이 됩니다. 단, 눈 또는 빙판길의 상태에 따라 회생제동을 이용하여 타력 주행을 하면 차량을 조정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도로 상태에 따라 적절한 단계의 회생제동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경고
  • 배터리, 모터의 충전 가능 상태(과충전, 고온, 저온)에 따라 기능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전방 도로 상황 및 주행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직접 속도를 조절하십시오.

  • 화물 무게에 따라 회생단계별 감속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제동 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직접 속도를 조절하십시오.

계기판을 통해 회생제동 설정 단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드라이브 모드 선택에 따라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회생제동 단계 및 변경 가능 범위가 달라집니다.

드라이브 모드

기본 회생제동 단계

회생 제동량변경 범위

ECO

2단계

0 ~ 3 단계

NORMAL

1단계

0 ~ 3 단계

자세한 내용은 4장의 "주행모드 통합제어 시스템"을 참고하십시오.

알아두기
  • 타력 주행이란?

    주행 중 브레이크/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어 동력을 소비하지 않고 관성을 이용하여 운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 회생제동이란?

    차량 감속 시 구동용 전기 모터를 이용 ,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구동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