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으로만 검색
> 안전 장치 > 에어백(보조 구속 장치) > 충돌 시에 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았을까요? (에어백의 작동, 비작동 조건)

충돌 시에 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았을까요? (에어백의 작동, 비작동 조건)

에어백으로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사고 유형이 많이 있습니다. 이는 후면 충격, 충돌 사고 시의 2, 3차의 충격, 저속 충격 등과 같이 충돌 센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충격이 가해질 때는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에어백 충돌 센서

  1. 에어백 제어 모듈 (충돌 센서 내장)

    콘솔 하단에 위치합니다.

  2. 정면 충돌 센서

    모터룸 내 앞쪽에 위치합니다.

* 실제 차량의 센서의 위치는 위 이미지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경고
  • 정면 충돌 센서 부위에 임의의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센서에 영향을 받는 에어백이 작동될 수도 있습니다.

  • 특히 정면 충돌 센서의 경우, 센서의 장착 각도가 변경되면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아야 할 때 작동되거나 또는 작동되어야 할 때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센서를 임의로 만지지 마십시오.

    또한 모터룸 점검 시는 반드시 시동 스위치 「OFF」 상태에서 점검하십시오.

  • 앞쪽 범퍼나 차체의 변형에 따라 센서의 각도가 달라질 때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의 점검을 의뢰하십시오.

  • 차량 적재함에 과적하거나 적재함을 임의로 개조할 경우 에어백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적재함에 과적하지 마십시오. 또한 적재함을 임의로 개조하지 마십시오.

  • 에어백 제어 모듈이 장착된 부위에 발이나 망치, 단단한 물건 등으로 임의의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에어백 시스템의 오작동이 될 수 있습니다.

에어백의 작동 조건

정면 에어백

운전석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차량 정면, 가운 데를 중심으로 약간 왼쪽부터 약간 오른쪽까 지 충격이 있을 때, 에어백 충돌 센서에 충격이 전달되면 충돌의 세기, 차량의 속도 또는 충돌 각도에 따라 에어백 제어 모듈에서 판단하여 작동합니다.

운전석 에어백은 정면 충돌 시에 작동되어지 나 정면 충돌이 아니라도 에어백 충돌 센서에 충격이 전달될 때는 정면 에어백이 작동될 수 있습니다.

즉, 측면이나 사면 충돌 시, 추돌 시, 버스 또는 트럭의 범퍼 밑으로 차량의 앞부분이 들어 가게 되는 충돌이나 추돌시, 전봇대와의 충돌 시 또는 전복 사고 시에도 에어백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안전 운행하십시오.

공사장이나 비포장 도로, 보도블럭과 같은 돌출된 도로 또는 평지 도로에서도 돌출부에 의한 하체 충격 시 에어백이 작동될 수 있습니다. 돌출부가 있는 도로에서는 반드시 서행하십시오.

도로에 있는 구멍이나 홀에 빠질 시, 지상에서 있는 장애물에 강하게 충돌할 시, 고속으로 연석등에 충돌할 시, 차량이 점프하여 지면에 충돌하거나 차량 하부에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 에어백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안전 운행하십시오.

에어백의 비작동 조건

안전벨트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경미한 사고 충격

에어백이 작동해도 탑승자 보호에 적절한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심한 2차 피해(가벼운 찰과상, 안경 파손, 화상 등)가 예상될 경우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후방 추돌이나 충돌 사고

충돌반력에 의해 탑승자는 좌석 등받이 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이 때 에어백이 탑승자 보호를 위한 효과를 낼 수 없기 때문에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측면 충돌 사고

측면 충돌 시 탑승자는 충돌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차량 앞쪽에서 튀어나오는 에어백에 의해서는 적절한 보호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정면 에어백은 작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단, 사이드 에어백이나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차는 측면 충돌 시 충돌 심각도에 따라 측면 에어백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사면 충돌이나 추돌 사고 (앞방향 비스듬히 충돌 시)

사면 충돌이나 추돌 시 정면 방향으로 전해지는 사고 충격은 정면 충돌이나 추돌 시보다 약하게 전달되어 작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버스 또는 트럭 등과의 충돌 사고

사고 순간 운전자는 반사적으로 급제동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급제동 시 차체의 앞쪽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상태에서 충돌이나 추돌 시 범퍼는 상대편 차량의 밑으로 끼어들게 될 수 있습니다. 이 때의 사고 충격은 차량의 골격 부분(차체 부분)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충돌 센서가 설치된 차체에 충격이 적게 전달되어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복, 구름 등의 사고

전복이나 구름 등의 사고 시 에어백으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없어 정면 에어백은 작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봇대나 나무 등과의 충돌 사고

전봇대나 나무와 같은 기둥형 물체와 충돌할 경우에도 에어백 전개신호를 발생하는 충돌 센서에 충분한 충격량이 전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